요즘 개발자 커뮤니티나 엔터프라이즈 현장에서 "AI 잘하려면 결국 데이터가 핵심"이라는 말 자주 들리죠?
그런데 문제는, 데이터를 단순히 수집한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잘 저장하고, 필요할 때 똑똑하게 검색까지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거예요.
Elastic은 원래 오픈소스 검색엔진에서 시작했지만, 지금은 로그 분석, 보안 모니터링, AI 기반 검색 최적화까지 아우르는 강력한 데이터 플랫폼으로 진화했어요.
게다가 오픈소스 기반이라는 점은, 커스터마이징이나 자체 호스팅이 필요한 팀에게는 큰 장점이 되기도 하죠.
Elastic, 오픈소스인데 왜 라이선스가 세 개인 거야?
Elastic Stack은 원래 Apache 2.0 라이선스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였어요.
하지만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Elastic의 코드를 가져다 자사 서비스로 활용하면서, Elastic.co는 수익을 제대로 얻지 못하는 문제가 생겼죠 
그래서 2021년부터 라이선스 정책을 아래와 같이 크게 변경하게 됩니다:
Q. 실무에서 그냥 오픈소스로 Elastic 써도 되나요?
A. 예전엔 가능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어요. 7.10 버전까지만 Apache 2.0이고, 그 이후 버전은 모두 지원 종료(EOS)예요. 최신 보안 패치, 성능 개선, 기능 업데이트를 받으려면 상용 라이선스를 고려하는 게 현실적이에요.
Elastic 상용 라이선스, 뭐가 어떻게 다른 건데?
Elastic의 상용 라이선스는 현재 Platinum과 Enterprise 두 가지가 있어요.
이게 단순히 “기능 더 많음”의 차이가 아니라, 실제 운영 효율, 데이터 비용, AI 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 포인트들이 있습니다.
Platinum 라이선스 – 실무에 필요한 기능은 기본 제공!
•
보안 기능 강화: Role 기반 접근 제어, 데이터 암호화 등
•
모니터링 및 알림: 클러스터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Slack/E-mail 연동 가능
•
기본 머신러닝: 이상 징후 탐지 기능으로 로그 분석 효율 극대화
→ 운영 안정성과 보안이 필요한 팀에 적절한 선택입니다.
Enterprise 라이선스 – 데이터 양이 많거나, AI 검색까지 최적화하고 싶다면?
•
LogsDB: 저장 공간을 줄이면서 검색 성능 유지 (비용 최적화)
•
Searchable Snapshot: 외부 저장소에 둔 콜드 데이터도 검색 가능
•
고급 AI 기능:
• RRF(Reciprocal Rank Fusion): 검색 정확도 향상
• Inference API: 외부 AI 모델 연동
• LTR(Learning to Rank): 사용자 피드백 기반 검색 최적화
Q. Enterprise까지 꼭 써야 하나요?
A. 데이터량이 많고, 검색 정확도가 비즈니스 핵심이라면 충분한 ROI가 기대됩니다.
오픈소스 실무자가 꼭 고민해봐야 할 3가지
1.
지금 쓰는 버전, 괜찮은가요?
→ 7.10 이하 OSS 버전은 보안/성능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최신 버전 고려가 필요합니다.
2.
우리 팀이 정말 필요한 기능은?
→ 보안, 알림, 로그 분석 등 실제 요건을 기준으로 기능 비교 필수!
3.
비용과 효율, 둘 중에 뭐가 더 중요한가요?
→ 운영 리스크와 내부 역량을 고려해 OSS vs 상용을 현실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마무리: 데이터가 경쟁력인 시대, Elastic을 똑똑하게 쓰자!
요즘 AI, 검색, 모니터링 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시대잖아요.
Elastic Stack은 오픈소스 기반이라 유연하면서도, 상용 기능을 활용하면 꽤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실무에서 우리가 어떤 데이터를 다루고, 얼마나 민감한지를 기준으로 전략적으로 선택해보세요!